리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04:53본문
Download :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hwp
설명
리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맹자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본래적으로 갖게 되는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을 인(仁)의 단서로 여김과 아울러 인간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생각했다.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약철학연구』제 36집, 2004년, 2쪽
2. 성악설
리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다. 맹자는 인간은 본래적으로 선한 인의예지를 가지고 있는데, 단지 후천적인 environment의 influence(영향)을 받아 선량한 본성이 상실되는 것이라고 했다. 순자는 이러한 혼란스러운 사회를 극복하기 위해 반드시 성인의 가르침과 예의가 필요함을 역설했다.


성선설은 맹자가 체계를 갖춘 theory(이론)으로 인간의 본성을 생물학적인 본능이 배제된 본래부터 갖추어진 도덕성으로 여기는 theory(이론)이다. 순자는 인간이 이러한 인간의 본성을 따를 때 범죄가 발생하고 사양함과 충성스러움과 예의 제도 등이 사라져 사회가 혼란스러워지는 것으로 이해했다. 맹자는 사단을 인간의 도덕성의 실마리로 여기고 인간은 자신에게 갖추어진 사단을 확충하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리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리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또한 맹자는 인간에게는 의(義)의 단서인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과 예(禮)의 단서인 사양하는 마음과 지(智)의 단서인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마음이 함께 갖추어져 있다고 생각했다.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약철학연구』제 36집, 2004년, 3쪽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맹자는 인간과 동물을 구별하는 데에 인의예지의 도덕성을 사용하였다. 맹자는 오직 인간에게만 인의예지의 도덕성 있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맹자는 이러한 잃어버린 마음을 욕망의 감소를 통해 찾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
Download : 레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hwp( 66 )
순서
.
리포트 - 인간의 본성 문제
맹자는 사회의 定義(정이) 실현을 위한 대책으로 사회적 제도를 주장하지 않고 인간의 내면세계에 존재하는 도덕성의 회복을 강조했다. 순자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이익을 추구하고 감각 기관의 욕구대로 행동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을 인간의 본성으로 여겼다.
성악설은 인간의 본성을 생물학적인 면으로 여기는 순자에 의해 발전한 theory(이론)이다. 즉 4개의 마음인 인(仁)에서 우러나오는 측은지심, 의(義)에서 우러나오는 수오지심, 예(禮)에서 우러나오는 사양지심, 지(智)에서 우러나오는 시비지심을 사단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