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호 질 > primus7 | primus.co.kr report

호 질 > primus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7

호 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7-21 12:57

본문




Download : 호 질.hwp




마지막으로 육혼이 유자를 추천하자 범은 이를 반박한다. 그러나 이다지 훌륭한 범을 잡아 먹는 짐승은 비위, 죽우, 박, 오색사자, 자백, 황요, 활, 추이 등이 있고 특히 범이 맹용을 만나면 눈을 감고 감히 쳐다보지도 못한다. 살아있을 때는 사람이었던 이들도, 범에게 먹힌 후에는 범의 가까이에 붙어 살며 앞장서서 범의 먹이를 찾아주는 창귀가되는 것으로 인간의 간사함을 풍자하고 있따 또한 이러한 창귀들은 청황제의 위협을 제거해 주고 서번의 교왕들로 하여금 조공까지 바치게 하는 반선 같은 무리로, 범상한 두어 줄의 편지글에도 역대 황제들의 공덕을과 은택에 감격하고 입만 열면 칭송하고 붓만 들면 아첨하는 한인들을 나타낸다.”
이처럼 범을 잡아 먹는 십종의 짐승을 제시함으로써 범을 잡아먹는 맹용은 두려워하지 않고 범만을 두려워하는 인간의 허상에대한 야유과 함께 범의 예찬이 껍데기 뿐임을 표현하고 있따

(2) 범에게 먹힌 창귀의 세계
범은 개를 먹는 것이 보통이나 연암은 “범이 개를 먹으면 취하고 사람을 먹으면 조화를 부린다. 창귀들이 의원과 무당을 저녁거리로 추천하자 범은 ‘의자의야’ ‘무자무야’라는 말로 일축해버렸다.레포트/인문사회
(1) 범에 대한 해설
범이 청의 상징이라면 십종의 짐승은 청나라를 접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로서 청나라를 위협하는 존재들이다.

(3) 범과 창귀의 인간관
범이 여러 창귀들을 불러모아 먹이를 의논하자 먼저 굴각이 인간을 추천한다. 창귀들이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면의 주장과 호랑이의 부정적인 면의 주장은 유의 인간성에 대한 양극을 보여주는 것이다. 범이 사람을 한번 먹으면 굴각, 두 번 먹으면 이올, 세 번 먹으면 죽혼으로 변신한다.


호 질


호 질에 대한 글입니다. 이와같은 범과 창귀…(省略)



호%20질_hwp_01.gif 호%20질_hwp_02.gif 호%20질_hwp_03.gif 호%20질_hwp_04.gif



Download : 호 질.hwp( 93 )


설명
순서



호 질에 대한 글입니다.”고 하였다.虎_叱[1] , 호 질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虎_叱[1]
다. 굴각, 이올, 육혼은 각기 범의 겨드랑이, 광대뼈, 턱에 붙어서 사람을 유인하고 범을 보호하며, 심지어 육혼은 친구의 이름을 자꾸만 불러댄다.
“범은 착하고 성스럽고 문채롭고 싸움 잘하고 인자롭고 효성스럽고 슬기롭고 어질고 웅장하고 용맹하여 천하에 대적할 이가 없다.
전체 19,93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