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정신분열병 장애 > primus7 | primus.co.kr report

정신분열병 장애 > primus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7

정신분열병 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2 18:38

본문




Download : 정신분열병 장애.hwp





④양전자방출 단층촬영 (PET)
전두엽의 hypoactivity
(3) 유전적 성향
①가족연구
일반인구에서 정신분열병의 유병율은 보통 0.5-1.5%인데 반해, 정신분열병 환자의 형제 혹은 자녀에서 유병율은 보통 거의 5-15%로서 10배나 높으며, 환자와의 혈연관계가 가까울수록 발병 기대율이 높아진다 (Rosenthal 1971).
정신분열병에 걸릴 기대율은 환자의 부모에서 5%이고, 친형제에서 10%이며, 부모 모두가 정신분열병일 때 그 자식에서의 기대율은 약 40% 정도라고 보고되고 있다아 부모에서의 기대율이 형제보다 낮은 것은 정신분열병 환자가 부모가 될 확률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說明(설명) 되고 있다 (Slater와 Cowie 1971).

②쌍생아 연구
쌍생아에서 한쪽이 정신분열병에 걸렸을 때 다른 한쪽이 정신분열병에 걸릴 일치율은 이란성 쌍생아보다 일란성 쌍생아에서 3-5배 높다고 보고됨으로써, 정신분열병의 유전성향을 뒷받침하고 있다 (Gottesman와 Shields 1972). 그러나, 일란성 쌍생아에서 50%의 불일치율을 보이는 것은 environment(환경) 적 요인 또한 정신분열병의 발병에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정신분열병장애
정신분열병 장애에 대한 글입니다.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다.정신분열병장애 , 정신분열병 장애의약보건레포트 ,

정신분열병 장애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정신분열병%20장애_hwp_01.gif 정신분열병%20장애_hwp_02.gif 정신분열병%20장애_hwp_03.gif 정신분열병%20장애_hwp_04.gif 정신분열병%20장애_hwp_05.gif 정신분열병%20장애_hwp_06.gif
② 자기공명 영상 (MRI)
정신분열병의 발병에 불일치를 보이는 일란성 쌍생아들을 자기공명 영상촬영한 결과 병에 걸린 대부분의 쌍생아들이 정상 범위의 뇌실 크기를 보이기는 했지만, 병에 걸린 쌍생아들을 걸리지 않은 쌍생아들과 비교할 때는 뇌실의 크기가 컸다 (Kaplan등 1994).
③자기공명 분광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자기공명 분광은 뇌 속의 특이 분자 (예 : ATP)의 농도를 측정(測定) 하는 기법이다. 일란성 쌍생아는 똑같은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발병율이 다른 것으로 보아 유전자 표현에 대한 조절이 개인별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아

③양자연구
유전적으로 정신분열병 환자와 가까운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들은 환자와 멀리 떨어져 살아도 그 발병율은 일반인구의 정신분열병 발병율보…(skip)

Download : 정신분열병 장애.hwp( 22 )



정신분열병 장애에 대한 글입니다.
전체 19,93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