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04 10:13
본문
Download :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hwp
사실 china(중국) 의 옌볜 조선족 자치구는 최근 조선족 입구 급감으로 자치주 해체 위기론이 나오고 있다 자치주 지위를 유지하려면 해당 지역 전체 인구의 30%를 넘어야 하는데, 현재 등록된 옌볜의 조선족의 숫자로는 겨우 30%에 해당할뿐더러 실제 거주자는 이보다 적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자치주가 붕괴한다면 곧 조선족의 culture 전승에도 큰 타격을 줄 것이다. china(중국) 의 이러한 등재 행위의 결과 만들어진 무형culture유산은 대한민국의 culture임이 확실하다. 2년마다 6월 말까지 유네스코 사무국에 등재 신청을 하면 국제비政府기구(NGO)와 여러 전문가들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진 후 다음 해 4월에 국제심사위원회의에서 최종심의를 한다. 종전 제도에서는 가장 우수한 무형유산 1건씩 신청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변경된 제도에서는 국내 목록으로 등재된 유산을 대상으로 하되 등재 건수를 제한하지 않으며, 현장실사를 하지 않고 신청서와 제출된 영상물을 통하여 심사를 한다는 점에서 요건과 절차가 완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인류무형유산의 목적은 culture다양성의 원천인 …(To be continued ) 무형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하고,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국가적, 국제적 협력과 지원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세계유산협약에 따른 세계유산이나 유네스코에서 선정하는 세계기록유산과는 concept(개념)상 구별되며 별도 관리된다
2년마다 유네스코 국제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한다.
[보고서]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
레포트/기타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 ,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기타레포트 ,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_hwp_01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F%99%EC%95%84%EC%8B%9C%EC%95%84%EB%AC%B8%ED%99%94%EC%9D%BD%EA%B8%B0%20%EC%9C%A0%EB%84%A4%EC%8A%A4%EC%BD%94%EA%B4%80%EB%A0%A8_hwp_01_.gif)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_hwp_02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F%99%EC%95%84%EC%8B%9C%EC%95%84%EB%AC%B8%ED%99%94%EC%9D%BD%EA%B8%B0%20%EC%9C%A0%EB%84%A4%EC%8A%A4%EC%BD%94%EA%B4%80%EB%A0%A8_hwp_02_.gif)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_hwp_03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F%99%EC%95%84%EC%8B%9C%EC%95%84%EB%AC%B8%ED%99%94%EC%9D%BD%EA%B8%B0%20%EC%9C%A0%EB%84%A4%EC%8A%A4%EC%BD%94%EA%B4%80%EB%A0%A8_hwp_03_.gif)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_hwp_04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F%99%EC%95%84%EC%8B%9C%EC%95%84%EB%AC%B8%ED%99%94%EC%9D%BD%EA%B8%B0%20%EC%9C%A0%EB%84%A4%EC%8A%A4%EC%BD%94%EA%B4%80%EB%A0%A8_hwp_04_.gif)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_hwp_05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F%99%EC%95%84%EC%8B%9C%EC%95%84%EB%AC%B8%ED%99%94%EC%9D%BD%EA%B8%B0%20%EC%9C%A0%EB%84%A4%EC%8A%A4%EC%BD%94%EA%B4%80%EB%A0%A8_hwp_05_.gif)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_hwp_06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5D%20%EB%8F%99%EC%95%84%EC%8B%9C%EC%95%84%EB%AC%B8%ED%99%94%EC%9D%BD%EA%B8%B0%20%EC%9C%A0%EB%84%A4%EC%8A%A4%EC%BD%94%EA%B4%80%EB%A0%A8_hwp_06_.gif)
레포트,동아시아문화읽기,유네스코관련,기타,레포트
유네스코 무형culture유산
유네스코란 교육과학culture의 보급 및 교류를 통해 여러 국민들 사이의 이해를 돈독히 하고 협력관계를 촉진함으로써 국제평화와 안전을 확보하려는 국제연합의 전문기관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조선족의 culture가 아닌 것은 아니다.
china(중국) 의 입장은 ‘조선족의 전통 풍습’이라는 명목아래 자국 내 소수민족의 culture 보호 차원에서 국가무형culture유산으로 지정한 것이라고 한다. 대한민국의 입장에서는 매우 황당한 소식이다. 무형culture유산의 등재 기준은 첫째, 무형유산협약 제2조에서 규정하는 무형culture유산에 부합할 것, 둘째, 대표목록 등재가 해당 유산의 가시성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culture 간 대화에 기여하며, 아울러, 세계 culture다양성 반영 및 인류의 창조성을 입증할 것, 셋째, 신청유산에 대한 적절한 보호 조치가 마련되어 있을 것, 넷째, 관련 공동체, 집단, 개인들이 자유롭게 사전 인지 동의(free, prior, informed consent)하고, 가능한 최대한 폭넓게 신청과정에 참여할 것, 다섯째, 신청유산이 당사국 무형culture유산 목록에 포함되어있을 때이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했을 때, 현실적으로 china(중국) 은 조선족의 culture를 국가무형culture유산으로 지정해서 보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유네스코의 여러 종류 중 무형culture유산이란 1997년 유네스코(UNESCO, 유엔교육과학culture기구) 총회에서 소멸 위기에 처한 culture유산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으로 선정하여 보호하자는 결의안을 채택하였고, 이에 따라 2001년 5월부터 등재 사업이 처음 된 것이다. 등재된 우리 culture유산은 조선족의 농악무와 널뛰기, 그네, 퉁소, 학춤, 장고춤, 삼노인 공연극, 그리고 회갑연, 전통혼례, 의복, 아리랑, 가야금 예술, 판소리, 조선족 회혼례 등 13건이다.
culture재청 국정감사에서, china(중국) 국무원이 지난 2006년 이후 국가 무형culture유산 목록을 작성하면서 조선족 무형culture유산 13건을 함께 등재했다고 밝혔다. 따라서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반발하는 것은 옳지 않고 우리나라 안에서 우리 culture를 인식하고, 현대 culture 안에 녹아들 수 있도록 관심과 사랑을 갖는 것이 앞으로 우리가 해야 할 일이다. 우리의 culture를 china(중국) 이 먼저 무형culture유산으로 등재를 해버렸으니 말이다.
`세계무형culture유산 리스트`
1.china(중국) 의 곤극(2001)
2.캄보디아의 왕실무용(2003)
3.인도의 산스크리트어 연극 쿠티야탐(2001)
4.인도네시아의 그림자 인형극 와양(2003)
5.Japan의 노가쿠(2001)
6.이라크의 마캄(2003)
7.모로코의
[보고서]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
순서
설명
Download : [레포트] 동아시아문화읽기 유네스코관련.hwp( 74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