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report]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14 12:50
본문
Download :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hwp
장자는 대상을 定義(정이)하지 말고 속박하지 말며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는 오만을 버리라 충고한다.
또한 전국의 혼란을 잠재울 최고의 가치라고 생각하는 법가가 연구되었다. 인간의 비극은 욕망이지만 이는 본질적인
[글쓰기report]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
Download :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hwp( 65 )
다. 그의 사성제는 첫째로 ‘존재하는 모든 것이 ...
전자전기工學(공학) 부 321xxx62 최원열
진리는 없지만 길잡이는 존재한다
급속한 현대사회의 alteration(변화) 와 명백한 사실적 역싸로 남아있는 우리 삶의 윤리적 alteration(변화) 는 현재 철학이라는 학문에서 더욱 실질적이며 유효한 답을 찾아오게 한다.
맹자는 인간의 이기적, 공격적 속성 은 본질적 부분이 아니라 環境(환경)과 습관에 의한 비본질적 습관이라 하여 스스로를 외부로부터 엄격한 믿음과 경외감으로 지켜 초월적 실재에 다가간다고 하였고, 순자는 이를 비판하며 내면적, 자율적 방식으로의 접근은 실패하게 되며 외면적 통제와 질서를 통해 인간성을 규율 하고자 했다. 이 사상은 무신론적 체계이었고 사후 세계…(투비컨티뉴드 ) 를 설정하지 않았다. 한국인은 합리적 계산과 냉정한 판단에 서툴고 심정적 동의와 감정에 익숙하여 법가적 실용성은 아직 낯설지만 매사를 연관된 목표(goal) 하에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판단해야 한다. 그의 제자 한비자는 자유와 방종은 질서의 교란과 사적 이익의 추구로 드러날 것이라고 하며 법가를 완성적으로 만들어 낸 장본인이다. 이는 conclusion(결론)적으로 苦의 실제는 삶의 두려움이나 공포 없이 직면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질 때에 그것이 곧 구원이며 법계라는 것이다. 법의 이념이 국가의 목적, 지배권력을 옹호하고 권위화 만들지만 이 학문의 이념과 방식은 동양의 근대적 계약과 법치의 이상과 가장 가까운 사상이다. 공자는 삶의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죽음에 대해 말했지만 현재의 유교적 관행은 조상에게 제를 받들고 있다 맹자는 또한 仁義禮智와 人乃天이라 하여 인간이 곧 하늘이라 하였으며 스스로의 신성을 불신하는 것은 자신의 존재를 내버리는 自暴自棄라 하였다.[글쓰기report]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
레포트/감상서평
설명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 ,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 독후감
순서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_hwp_01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80%EC%93%B0%EA%B8%B0%EB%A0%88%ED%8F%AC%ED%8A%B8%5D%20%EC%99%9C%20%EB%8F%99%EC%96%91%EC%B2%A0%ED%95%99%EC%9D%B8%EA%B0%80%20%EB%8F%85%ED%9B%84%EA%B0%90_hwp_01_.gif)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_hwp_02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80%EC%93%B0%EA%B8%B0%EB%A0%88%ED%8F%AC%ED%8A%B8%5D%20%EC%99%9C%20%EB%8F%99%EC%96%91%EC%B2%A0%ED%95%99%EC%9D%B8%EA%B0%80%20%EB%8F%85%ED%9B%84%EA%B0%90_hwp_02_.gif)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_hwp_03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80%EC%93%B0%EA%B8%B0%EB%A0%88%ED%8F%AC%ED%8A%B8%5D%20%EC%99%9C%20%EB%8F%99%EC%96%91%EC%B2%A0%ED%95%99%EC%9D%B8%EA%B0%80%20%EB%8F%85%ED%9B%84%EA%B0%90_hwp_03_.gif)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_hwp_04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80%EC%93%B0%EA%B8%B0%EB%A0%88%ED%8F%AC%ED%8A%B8%5D%20%EC%99%9C%20%EB%8F%99%EC%96%91%EC%B2%A0%ED%95%99%EC%9D%B8%EA%B0%80%20%EB%8F%85%ED%9B%84%EA%B0%90_hwp_04_.gif)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_hwp_05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80%EC%93%B0%EA%B8%B0%EB%A0%88%ED%8F%AC%ED%8A%B8%5D%20%EC%99%9C%20%EB%8F%99%EC%96%91%EC%B2%A0%ED%95%99%EC%9D%B8%EA%B0%80%20%EB%8F%85%ED%9B%84%EA%B0%90_hwp_05_.gif)
![[글쓰기레포트] 왜 동양철학인가 독후감_hwp_06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80%EC%93%B0%EA%B8%B0%EB%A0%88%ED%8F%AC%ED%8A%B8%5D%20%EC%99%9C%20%EB%8F%99%EC%96%91%EC%B2%A0%ED%95%99%EC%9D%B8%EA%B0%80%20%EB%8F%85%ED%9B%84%EA%B0%90_hwp_06_.gif)
글쓰기레포트,왜,동양철학인,독후감,감상서평,레포트
전자전기工學(공학) 부 32101762 최원열
진리는 없지만 길잡이는 존재한다
급속한 현대사회의 alteration(변화) 와 명백한 사실적 역싸로 남아있는 우리 삶의 윤리적 alteration(변화) 는 현재 철학이라는 학문에서 더욱 실질적이며 유효한 답을 찾아오게 한다.
불교에서 붓다는 나를 믿어라 하지도 않았으며 숭배하라고도 하지 않았으며 ‘나는 아직도 진리를 찾고 있다’ 라는 말로 운명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사상은 이단의식을 차단하였고 범신론적으로 의지와 욕망의 오염에 대한 끝없는 고행과 참선, 그리고 그 끝은 孔과 또 다른 世界에 도달하는 존재의 본질에 대한 가르침이 되었다. 동양철학은 한때 우리의 삶의 훈고한 규율이고 삶의 조언이었으며 지금도 물질주의 속의 무지한 우리에게 길을 안내하는 힘이 된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삶의 도구적인 행동방식에 불과한 서양철학에 비하여 동양철학은 인간 내면의 가치에 대해 삶의 체험적인 진실을 통한 사상의 근본을 성립하게 해주는 데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수많은 가르침과 철학 중에 어느 것에도 명명백백한 진리로 중요성을 강조할 수는 없으나 도덕 규범과 人間世界의 사회적 선의 형성에는 절대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동양철학은 한때 우리의 삶의 훈고한 규율이고 삶의 조언이었으며 지금도 물질주의 속의 무지한 우리에게 길을 안내하는 힘이 된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삶의 도구적인 행동방식에 불과한 서양철학에 비하여 동양철학은 인간 내면의 가치에 대해 삶의 체험적인 진실을 통한 사상의 근본을 성립하게 해주는 데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수많은 가르침과 철학 중에 어느 것에도 명명백백한 진리로 중요성을 강조할 수는 없으나 도덕 규범과 人間世界의 사회적 선의 형성에는 절대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장자의 문체와 重言, 우화는 건조하고 딱딱한 유가, 법가에 비하여 사상의 깊이와 교설로 도가 사상을 표현하였고 그는 가장 심오한 철학자이며 동시에 탁월한 산문작가였다.
불교에서 붓다는 나를 믿어라 하지도 않았으며 숭배하라고도 하지 않았으며 ‘나는 아직도 진리를 찾고 있다’ 라는 말로 운명했다고 전해진다. 공자의 보편적, 理論(이론)적 적합성과 지배적 원리에 충실한 도구적 합리주의를 신봉하던 관료들은 전체의 목적을 위해 구체적 실천과 理論(이론)을 서로 연관시켜야 했다. 유학은 곧 진정한 인간이 되려는 성학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자신의 내적 본성을 다듬기 위한 self-discipline 을 강조하였다. 그의 사성제는 첫째로 ‘존재하는 모든 것이 고통이다’ 一切皆苦 과 윤회사상, 관용, 방편론은 불교의 근본적인 진리란 구원에 이르는 도구적인 인식으로 알 수 있다 불교에서는 만물이 스스로 생겨나서 어느 때가 되면 변이하여 소멸되는 것이며, 우주도 다시 공으로 돌아간다고 하였으니 결국 이 세계는 未來(미래)에도 환원하였다가 다시 생성하여 alteration(변화) 하는 것으로 인연화합으로 생긴 자유에 불과하고 인간 스스로는 업에 따라 자신이 창조하고 결과를 또 창조하는 것이라 하였다.
춘추전국시대의 격동기에 생긴 유교는 인간관계의 조화와 평화를 추구하고 자신에 대한 엄격한 규율과 타인에 대한 배려에 바탕을 둔다. 법이란 인간의 자발적 도덕심과 책임의식으로는 사회질서를 확립하기에 버거운 타율적인 강제와 억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