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16 15:39
본문
Download : 물 분석.hwp
2. 원리 (또는 이론(理論))
☞ 물의 경도(hardness) : 물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물에 용해되어 있는 2가 양이온 금속 (Ca2+, Mg2+)의 함량을 이에 대응하는 CaC03로 환산한 값이다.)
☞ 수산화이온농도([OH-]) :
☞ Kω는 물의 이온곱 상수로, 물에서 자동적으로 해리되는 [H+]와 [OH-]의 곱으로 나타내어지는 상수이다.
물 분석 , 물 분석공학기술레포트 , 물
설명
Download : 물 분석.hwp( 51 )
물 分析
레포트/공학기술
물,공학기술,레포트
물 分析
題目 : 물 分析(분석)
test(실험) 일자 : 2005년 3월 17일
test(실험) 대 번호 :
test(실험) 자 : 허 영 준
확인 :
총점 :
Ⅰ. 서론
1. 목적
pH 미터기를 이용하여 용액의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 pH를 측정(measurement)해보고, 비중병을 이용하여 액체의 밀도를 알아보고,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물의 세기(전경도)를 측정(measurement)하는 test(실험) 을 통해 킬레이트 적정에 대해 공부한다. 그런데 금…(drop) 속이온과 1:1의 안정한 착물을 만들면 붉은색을 띤다.
Ⅱ. 시약 및 test(실험) 장치
1. 시약
표준 완충 용액
완충액이라고도 한다. Kω=[H+][OH-]=1x10-14 at 25oC
여기서 양변에 -log를 취하면 =14-
Kω 값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커진다. 예를 들면, 약한 산으로서의
순서






다. 현실의 용량分析(분석)으로 확인되는 것은 종점이라고 하며 이것과 당량점과의 차가 적정오차이다. 여러 가지 종점지시방식 중에서 가장 작은 적정오차를 주는 방법이 가장 올바른 용량分析(분석)법이라고 할 수 있다아
☞ EBT(Eriochrome Black T) : pH 6 이하에서는 붉은색을 띠고, pH 7과 11 사이에는 주로 푸른색을, 그리고 pH 12 이상에서는 주황색을 띤다. 칼슘이 온도 아연이온과 마찬가지로 EBT와 주홍색의 착물을 만들지만 아연의 착물보다는 다 소 안정도가 낮아 칼슘의 정량시 EBT 지시약을 사용하면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와 같은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이때에는 지시약으로 calcon 지시약을 사용한다
이 지시약은 pH 6.5 이하와 12 이상에서는 지시약의 색과 그 금속착물의 색이 비슷하므로 지시약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pH 7과 11 사이에서는 EBT 지시약의 금속착화합물의 색은 붉은색을 띠고 지시약은 푸른색을 띠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 범위에서 사용한다.
☞ 당량점(equivalence point) : 용량分析(분석)에서 피적정물질과 당량적으로 같은 양의적정시약을 함유하는 표준액이 첨가된 점. 중화적정의(定義) 경우에는 중화점이라고도 한다.
☞ 수소이온농도([H+]) :
(예를 들면 1.0x10-4M이라면, 이 용액의 pH는 4이다. 일반적으로 약한 산과 그 염, 또는 약한 염기와 그 염의 혼합용액이 완충작용을 한다.
反應액에 먼저 EBT 지시약을 가하면 反應액 중의 금속과 反應하여 지시약의 색 붉은색을 나타내지만, EDTA 표준용액을 적가하면 Ca, Mg 등의 금속은 EBT보다 EDTA와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들기 쉬우므로 EBT에 결합했던 금속은 EDTA와 결합하여 금속 지시약이 유리되기 때문에 反應종점에서 용액의 색은 EBT 지시약 자체의 색인 푸른색으로 變化하게 된다 EBT 지시약은 여러 가지 금속이온과 붉은 착이온을 만들지만 그중 일부 금속의 적정에만 사용할 수 있다아 이것은 EBT 지시약의 금속착화합물의 안정도 상수가 EDTA 금속착화합물의 안정도 상수보다 약 1/10 정도 작아야 적당하기 때문일것이다 안정도상수가 이보다 크면 反應종점이 너무 일찍 나타나며 반대로 작으면 늦게 나타난다.
EBT지시약 용액은 0.5g을 메탄올 100㎖에 녹여 조제하지만 구조식중의 -NO2, -N = N- 때문에 불안정하고 쉽게 분해되므로 항상 새로 만들어 사용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