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mus.co.kr 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 primus8 | primus.co.kr report

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 primus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primus8

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17 00:46

본문




Download : 포인터에 대한 개념.hwp




문제 1은 포인터의 기본적인 관념에 관련된 문제, 문제2는 포인터의 타입에관한 문제이다. 포인터의 type과 무관하게 크기는 정수이므로 %d를 이용한다. 먼저 pData1, pData2, pData3의 포인터변수를 선언하고 이들은 배열 data[6]={0,1,2,3,4,5}중 한 값을 포인트한다. 문제 4에서는 포인터에 연산기호를 써서 포인터를 활용하는 법을 배우고 문제 5,6에서는 포인터와 배열을 연관시켜본다. 포인터에 대한 개념_hwp_01_.gif 포인터에 대한 개념_hwp_02_.gif 포인터에 대한 개념_hwp_03_.gif 포인터에 대한 개념_hwp_04_.gif 포인터에 대한 개념_hwp_05_.gif 포인터에 대한 개념_hwp_06_.gif

Download : 포인터에 대한 개념.hwp( 82 )



순서

포인터,개념,기타,실험결과



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포인터에 대한 개념 , 포인터에 대한 개념기타실험결과 , 포인터 개념




1. experiment(실험) 목적
이번 실습에서는 포인터에 대한 관념과 여러 용도의 사용법을 배운다. iTemp의 값은 iTemp가 포인트하는 iValue의 주소값과 같고 iTemp는 100이다. ((mPointer+a)+b)에서 a=0이면 1행의 첫값, 1이면 2행의 첫 값에서 b만큼 다음값을 포인트하게된다 문제 6도 문제5와 비슷하지만 주어진 형식에 값을 대입하는 문제이다.
`문제3`
printf(` %x %x %d`, &iTemp, iTemp, iTemp)로 iTemp의 주소값, 값, iTemp가 포인트하는 곳의 값을 출력한다.
`문제4`
int pData1=data, int pData2=data+5, intpData3=pData2-2, int data[6]={0,1,2,3,4,5} 에의해 pData1은 배열의 첫항인 0을 포인트하고, pData2는 첫항에서부터 5번째항인 5을 포인트하고, pData3은 pData2에서 2를 빼므로 3을 포인트한다. 문제 5에서는 포인터의 가감방식을 이용하여 2x3 배열의 값을 하나씩출력한다.
printf(` %x %x %d n`, pData1, &pData1, pData1)의 형식으로 pData1의 값, 주소값, 포인트하는 곳의 값을 출력한다.
`문제5`
printf(` %d n`, ((mPointer+a)+b))의 형식으로 (a,b)를


실험결과/기타


설명
포인터에 대한 concept(개념)




다. ptrA는 a를 포인트하므로 ptrA의값은 a의 주소값과 같다.
`문제2`
printf(` %d %d %d %d`, sizeof(cp), sizeof(ip), sizeof(fp), sizeof(dp))로 각 포인터변수 cp, ip, fp, dp의 크기를 출력한다. 포인터의 크기를 출력하는 함수는 sizeof(변수)의 방법이다.
2. experiment(실험) 내용
문제1 은 배열의 주소값과 포인터의 값과 주소값을 출력한다. 크기는 4로 동일하다. 그리고1대신 2와3을 대입해주면 된다 그리고 pData3=pData3-2 에 의해 pData3가 포인트하는 값은 3에서 1로된다 그리고 printf(` %p %d n`, pData3, pData3)로 pData3의 값과 포인트하는 값을 출력해보면 배열 data에서 1의 주소값과 1이 출력된다 그리고 pData3=9에 의해 pData가 포인트하는값은 9로 변하지만 포인트하는 주소는 그대로이므로 pData3의 값은 그대로고 pData3이 포인트하는 값만 9로 바뀐다. 그리고 문제3은 포인터를 어떤 식으로 사용하는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문제 7에서는 포인터와 malloc을 이용하여 동적 2차원 배열구조를 생성하고 접근후 동적할당된 메모리영역을 반환한다.
3. 구현
`문제1`
printf(` %x %x %x %x n`, &a[0], &a[1], &a[2], &a[3]) 로 각 배열의 값…(skip) 의 주소값을 출력하고, printf(` %x %x %x n`, &ptrA, ptrA, &a)로 ptrA의 주소값, ptrA의 값, a의 주소값을 출력한다. 문제 3에서는 포인터의 주소값, 값, 포인터가 포인트하는 곳의 값을 출력한다. 포인터의 주소값은 포인터변수앞에 &을 붙이고, 값은 그대로 쓰고, 포인트 하는곳의 값은 앞에 을 붙이면된다 문제4는 포인터에 연산기호(+,-)를 사용하여 포인터를 활용해본다. 그리고 연산기호를 이용하여 포인트하는 곳을 변경한다. 그리고 배열에없는 값인 9를 포인트 하기위해 pData3=9 라고 포인트하는 값을 직접적으로 지정해준다. 배열의 주소값을 출력할 때는 출력 할 변수앞에 &을 넣으면 된다 문제 2에서는 type별 포인터의 크기를 출력한다.
전체 20,175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primus.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