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17 18:46본문
Download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hwp
다. 여기 잡가라 하는 것은 속가라 불러도 좋을 만큼 어떤 전형적인 시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보통 가곡에서 사용되는 그 가사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잡가를 하나의 독립된 시가양식으로 볼 수 있느냐 하는 점은 계속 논의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개별양식으로 독립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그 범위문제에 대하여는 논란의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잡가는 민요, 가사, 사설시조, 판소리 등 다른 양식의 문학과 교류하고 혼합하여 그 가운데 생성된 노래로서 기존의 어느 양식에도 귀속시킬 수 없는 다양성을 포괄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조윤제, 國文學槪說, 東國文化社, 1955, p.115.
Ⅲ. 결론
.
Ⅱ. 본론
잡가는 다른 시가양식처럼 규격화되고 고정화된 concept(개념)이 아니다. 끊임없이 생성되면서 시시로 상황에 따라 변개되어온 가장 생동적이며 개방적인 서민문학의 한 양식이다. 1. 잡가의 definition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잡가의 개념 2. 담당층과 향유층 3. 사설형성의 원리 Ⅲ. 결론
Download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hwp( 67 )
.
2. 담당층과 향유층
Ⅰ. 서론
순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라고 하였고, 『한국시가의 연구』에서는 “잡가가 일편 속화하여 읽은후 읊은 시가에서 노래 부른 창곡적 시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본 론
1) 가사의 하위 장르라고 보는 견해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1. 잡가의 concept(개념)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9065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20%EC%82%AC%EC%84%A4%ED%98%95%EC%84%B1%EC%9D%98%20%EC%9B%90%EB%A6%AC%5D-9065_01_.jpg)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9065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20%EC%82%AC%EC%84%A4%ED%98%95%EC%84%B1%EC%9D%98%20%EC%9B%90%EB%A6%AC%5D-9065_02_.jpg)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9065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20%EC%82%AC%EC%84%A4%ED%98%95%EC%84%B1%EC%9D%98%20%EC%9B%90%EB%A6%AC%5D-9065_03_.jpg)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9065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20%EC%82%AC%EC%84%A4%ED%98%95%EC%84%B1%EC%9D%98%20%EC%9B%90%EB%A6%AC%5D-9065_04_.jpg)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9065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906/%5B%EC%9E%A1%EA%B0%80%EC%9D%98%20%EB%8B%B4%EB%8B%B9%EC%B8%B5%EA%B3%BC%20%EC%82%AC%EC%84%A4%ED%98%95%EC%84%B1%EC%9D%98%20%EC%9B%90%EB%A6%AC%5D-9065_05_.jpg)
설명
3. 사설형성의 원리
[잡가의 담당층과 사설형성의 원리]
<목 차>
조윤제는 『국문학개설』에서, “잡가는 이를 시가의 유형적 명칭이라 할 수는 없다. 잡가의 이러한 개방적이며 혼합적인 속성에서 우리는 조선조 말엽의 도시 하층민 특유의 복합적인 정서와 그 형상화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잡가는 그 담당층과 사설 형성의 원리가 독특하다고 볼 수 있는데, 본론에서는 이러한 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