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연중행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3 08:01
본문
Download : 일본의 연중행사.hwp
우리나라의 차례(次例)(茶禮)음식처럼 12월30, 31일에 만들어 1월1일 새해가 된 것을 축하하며 가족들과 함께, 또는 찾아온 손님들에게 내 드리는 특별한 음식이다.
● 검은콩 : 마메(豆)라고 하는데 이 말은 열심히 노력하며 살아간다는 다른 뜻이 있따
▶카가미모치(鏡餠)
* 각 요리에 담긴 의미
● 도미 : 에도시대로부터 스타트된 칠복신 신앙과도 결합되어 도미는 경사스러운 물고기.
☆★☆★☆★☆★☆★☆★☆★☆★☆★☆★☆★☆★☆★☆★☆★☆★☆★☆★☆★☆★☆★
순서
☆★☆★☆★☆★☆★☆★☆★☆★☆★☆★☆★☆★☆★☆★☆★☆★☆★☆★☆★☆★☆★ 일본의 연중행사 ☆★☆★☆★☆★☆★☆★☆★☆★☆★☆★☆★☆★☆★☆★☆★☆★☆★☆★☆★☆★☆★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사람들은 대청소를 한 후, 대문을 카도마츠(門松)로 장식하고, 카가미모찌(鏡もち)를 만들어 신에게 바친다.
불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한 한 꺼리기 위해서 라고 한다.
이렇게 놓아둔 모치를 대개 1월11일에 카가미아키(鏡開き)라고 해서 이날 포장을 뜯고 떡국이나 단팥죽에 넣어 처음 먹게 된다된다. 또 사람들은 오조니(お雜煮)와 오세치(お節)요리라는 특별한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Download : 일본의 연중행사.hwp( 12 )





대문이나 집 입구에 소나무를 세워 장식하여 조상신을 맞아들이는 것이다.
● 다시마 : 콘부라고 하는데 이것은 기쁘다는 뜻의 요로코부(喜ぶ)의 마지막 부분 발음과 비슷하기 때문에 다시마를 먹으면서 일년 내내 좋은 일만 생기기를 기원한다. 현재는 진공 포장의 떡을 슈퍼에서 팔고 있기 때문에 손쉽게 구하고 보존도 오래 간다.
일본의 연중행사
● 말린 청어알 : 자손 번영
도코노마를 깨끗이 하고 일출, 소나무, 대나무, 학, 거북이 등의 경사스러운 그림의 족자를 건다.
● 마른 멸치조림 : 풍작을 기원
찹쌀로 만든 흰색의 카가미모치는 神과 인간의 중개역할을 하여, 1년간의 행복을 기원한다.
일반적으로 관서지방은 하얀 된장, 관동지방은 맑은 장국에 떡을 넣는데, 그 떡도 관동지방은 절편떡이고, 관서지방은 하나하나 둥글게 만든 떡이다. 왼쪽에는 소나무, 대나무, 매화, 목단 수선화 등을 이용한 꽃꽂이를 해 놓는다.
일본의 연중행사, 일본, 연중행사
● 토란 : 자식에게 축복 받기를 기원. 자손번영. 다산.
5)오세치요리(お節料理)
4)오조니(お雜煮)
● 새우 : 긴 수염이 달린 새우는 장수를 의미
● 우메보시 : 우메보시의 주름을 노인의 피부에 비유해서 장수를 바란다는 의미. 매화나무가 장수하는 것도 이유의 하나.
다. 중앙에는 카가미모치(鏡餠)를 장식하고 오른쪽에 도소세트를 장식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2) 시메나와(標縄)
오쇼가츠(お正月)
현대 Japan에서 오조니와 함께 1월1일에 먹는 음식을 의미한다.
● 연근 : 여러 개의 구멍이 숭숭 나 있는 연근을 먹으면 구멍을 통해 앞날을 볼 수 있는 지혜의 눈을 갖는다는 믿음을 의미.
우리나라 말로는 금줄. 설을 맞이하기 위해 현관정문이나 부엌 입구 등에 장식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속설 일뿐, 본래의 의미는 설날에
일본의 연중행사
● 황밤 : 勝栗라고 하며 ‘이긴다’라는 의미로 먹는다.
3) 도코노마 장식
● 우엉 : 강함이나 튼튼함의 의미
1) 카도마츠(門松)
☆★☆★☆★☆★☆★☆★☆★☆★☆★☆★☆★☆★☆★☆★☆★☆★☆★☆★☆★☆★☆★
설 3일간의 음식은 오세치와 오조니가 보통인데, 그 내용물은 지방에 따라 가정에 따라 각기 특색이 있따 오조니란 Japan식 떡국인데 일반적으로 야채, 생선(특히 연어), 고기 등이 든 맑은 장국이나 된장국에 떡을 넣은 것으로 신년을 축하하는 대표적인 요리이다. 자기의 소유물에 이 시메나와를 붙이는 것은 일종의 액막이로써 앞으로 1년 동안 성스럽게 보호받기를 원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도야마(富山)나 오사카에서는 세우지 않지만 소나무가 장수를 의미하면서도 마쯔(待つ:기다림)를 뜻하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쓰인다. 12월 중순경부터 장식하기 스타트하여 1월 7일까지 장식한다.
설명
이 음식은 주로 국물이 없이 건더기로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한꺼번에 장만해놓고 설 연휴 내내 먹을 수 있으니까 부엌일을 도맡아 하는 주부들에게 새로운 음식을 만들지 않는 휴가를 주기 위해서라고 한다. 그리고 연하장을 읽고 하즈모데(初詣で)하러 가는 것이 일반적인 설의 모습이다. 설날에는 또 연날리기와 같은 전통놀이를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편평하고 둥근 찹쌀떡 2개를 올려놓는데 2라는 숫자는陽과 陰, 親과 子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