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과] 중국(中國)과ASEAN의FTA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2-02 21:25
본문
Download :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hwp
설명
경제학과,중국과ASEAN의FTA,경영경제,레포트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_hwp_01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A0%9C%ED%95%99%EA%B3%BC%5D%20%EC%A4%91%EA%B5%AD%EA%B3%BCASEAN%EC%9D%98FTA_hwp_01_.gif)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_hwp_02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A0%9C%ED%95%99%EA%B3%BC%5D%20%EC%A4%91%EA%B5%AD%EA%B3%BCASEAN%EC%9D%98FTA_hwp_02_.gif)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_hwp_03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A0%9C%ED%95%99%EA%B3%BC%5D%20%EC%A4%91%EA%B5%AD%EA%B3%BCASEAN%EC%9D%98FTA_hwp_03_.gif)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_hwp_04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A0%9C%ED%95%99%EA%B3%BC%5D%20%EC%A4%91%EA%B5%AD%EA%B3%BCASEAN%EC%9D%98FTA_hwp_04_.gif)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_hwp_05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A0%9C%ED%95%99%EA%B3%BC%5D%20%EC%A4%91%EA%B5%AD%EA%B3%BCASEAN%EC%9D%98FTA_hwp_05_.gif)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_hwp_06_.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2%BD%EC%A0%9C%ED%95%99%EA%B3%BC%5D%20%EC%A4%91%EA%B5%AD%EA%B3%BCASEAN%EC%9D%98FTA_hwp_06_.gif)
Download :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hwp( 64 )
순서
중국(China),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ASEAN + 중국(China) = ACFTA)
Ⅰ.중국(China)과 아세안의 관계
1. 중국(China)-아세안 각국의 경제 現況(현황)
2. 중국(China)-아세안 양자 간 교역관계
Ⅱ.중국(China)의 FTA 추진 배경 및 現況(현황)
1. FTA 추진 배경
2. FTA 추진 現況(현황)
3. 중국(China)의 FTA 추진 주요 대상국별
Ⅲ. 중국(China)-아세안 FTA 추진 동향
1. 개요
2. 기본 협정 내용
3. 중국(China)-아세안 FTA 주요추진 일지
Ⅳ. 중국(China)-아세안 FTA 기대효율
Ⅴ. 중국(China)-아세안 FTA 문제가되는점
Ⅵ. 우리나라 대응방법
- 시사점 및 대책
여는 말
2004년 11월 중국(China)과 ASEAN 10개국간 자유무역협정(FTA)이 formula적으로 발효됨으로써 아시아 지역에서 13억의 중국(China) 인구와 5억의 ASEAN 인구 등 총 18억 인구를 한데 묶는 거대경제권 출범이 본격적으로 처음 되었다.
I.중국(China)과 ASEAN의 관계
1.중국(China)-아세안 각국의 경제 現況(현황)
① 중국(China)+ASEAN GDP는 세계 GDP의 5.8% 점유, 인구 규모는 전 세계의 1/3 수준
-중국(China)+ASEAN 10개국 GDP규모는 2조 920억 달러,인구는 18억 3천만 명 수준
② 중국(China)의 GDP 규모는 1조 4천 억 달러 규모로 아세안 6,824억 달러의 2배 이상규모
-아세안 국가 중 GDP 규모가 가장 큰 인도네시아의 2,083억 달러 보다
7배 이상 큰 규모
-아세안국가 중 인도네시아,태국,말레…(To be continued ) 이시아,싱가포르,필리핀 등 5개국이 아세안 GDP의 91.8%를 점유
2. 중국(China)-ASEAN 양자간 교역관계
① 중국(China)통계기준으로 2003년 중국(China)-ASEAN 교역액은 779.6억 달러(중국(China)의 대외교역 중 9.2%점유)로 아세안은 중국(China)의 제4위 교역시장
-아세안은 중국(China)의 제4위 수출시장으로 중국(China)통계 기준으로 지난해 중국(China)은 총수출의 7.1%인 309.4억 달러를 아세안으로 수출
-수입 면에서 아세안은 중국(China)의 제3위 수입국으로 총수입의 11.5%,473.5억 달러를 아세안으로부터 수입
② 양자간 교역 동향
o 1998년 아시아 금융위기로 양자간 무역이 일시적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1993년부 터 2003년까지 중국(China)과 아세안의 무역은 시종 증가추세를 기록
-무역수지는 중국(China)이 계속적인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양자간 교역규모가 확대되는 것에 비례해 무역수지 적자규모도 확대;2003년 167억 달러의 대아세아 무역적자를 기록
-국가별로는 아세안 10국 중 선발 6개국이 대중무역의 90%내외를 점유
;2003년 중국(China)의 아세안 수출 중 85.5%가 아세안 선발 6개국(브루나이,인니,말레이시 아,싱가폴,필리핀,태국)에 집중
;수입의 경우, 이들 6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96.5%를 차지
-아세안 국가 중 중국(China)의 최대 수출국은 싱가포르, 최대 수입국은 말레이시아임
;중국(China)의 대싱가폴 수출은 88.7억 달러로 아세안 수출의 28.7%를 싱가폴로 수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어 말레이시아(19.9%),인도네시아(14.5%),태국(12.4%),베트 남(10.3%)으로의 수출비중이 큼
;수입 면에서는 말레이시아(140.0억 달러,29.6%)가 최대 수입시장임. 이어 싱가폴 (22.1%),태국(18.6%),필리핀(13.3%), 인도네시아(12.2%) 순으로 수입비중이 높음
③ 주요 교역품목
o 아세안의 대중국(China) 주요 수출품목은 지난 10년간 큰 폭의 alteration(변화) 를 보이고 있음
-90년대 초중반에는 대 중국(China)수출의 30~40%내외를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 ,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경영경제레포트 , 경제학과 중국과ASEAN의FTA
[경제학과] 중국(中國)과ASEAN의FTA
[경제학과] 중국(中國)과ASEAN의FTA
레포트/경영경제
다.
중국(China)-ASEAN FTA는 인구 18억 4,000만명(세계 1위), 역내 국내총생산 (GDP) 2조 3,000억 달러, 역내 교역규모 1조 6,600억 달러 (세계 3위)의 거대경제권이다. 이 글에서는 중국(China)-ASEAN FTA 추진 배경, 협정이 주요 내용,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등을 살펴본다.
현재 우리나라도 ASEAN과 FTA 협상을 벌이고 있는데 상품양허 방식 등 중국(China)과 ASEAN간 체결한 FTA를 analysis(분석) 하면 적지 않은 시사점을 얻을 것이다.
중국(China)-ASEAN FTA는 인구 18억 4,000만명(세계 1위), 역내 국내총생산 (GDP) 2조 3..
중국(China), 아세안 자유무역협정
(ASEAN + 중국(China) = ACFTA)
Ⅰ.중국(China)과 아세안의 관계
1. 중국(China)-아세안 각국의 경제 現況(현황)
2. 중국(China)-아세안 양자 간 교역관계
Ⅱ.중국(China)의 FTA 추진 배경 및 現況(현황)
1. FTA 추진 배경
2. FTA 추진 現況(현황)
3. 중국(China)의 FTA 추진 주요 대상국별
Ⅲ. 중국(China)-아세안 FTA 추진 동향
1. 개요
2. 기본 협정 내용
3. 중국(China)-아세안 FTA 주요추진 일지
Ⅳ. 중국(China)-아세안 FTA 기대효율
Ⅴ. 중국(China)-아세안 FTA 문제가되는점
Ⅵ. 우리나라 대응방법
- 시사점 및 대책
여는 말
2004년 11월 중국(China)과 ASEAN 10개국간 자유무역협정(FTA)이 formula적으로 발효됨으로써 아시아 지역에서 13억의 중국(China) 인구와 5억의 ASEAN 인구 등 총 18억 인구를 한데 묶는 거대경제권 출범이 본격적으로 처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