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시 민 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시 민 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1-13 18:28
본문
Download :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시민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hwp
`政府에 대한 반대` 기능과 같
은 비중에서 기업에 대한 반대, 즉 견제와 비판의 기능이 된다 한국의
경우, 재벌개혁과 environment(환경) 감시를 비롯한 각종 市民운동이 영리추구 이해
에 대한 반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향이 강하다.
(2) 영리추구 경제에 대한 협력이다.
(3) 영적추구 경제로부터의 자율이다. 기업의 영리활동으로 사회의 부가 축적되
고 결제적 풍요를 누리게 되면, 더불어 자각적인 市民의식이 발전되고
市民사회가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게 된다 또 역으로 市民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한 市民culture가 발전되고 市民사회가 건강한 사회에
서, 기업의 영리활동이 왕성하며 동시에 기업의 `市民정신`이 사회공헌
으로 실천되는 지속가능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양자의 관계는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서 서로에 대한 견제와 비판을 통해
影響(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동시에 상대로부터 자극과 비판을 수용하
며 배우는 `학습의 과정`에 있다 특히 기업의 입장에서 NGO의 자극
과 도전에 대응하는 소극적인 입장에서 벗어나 NGO의 도전이 주는
교훈을 내부의 학습과정으로 바꿀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될 때 양자
사이에 `생산적 긴장`의 관계가 성립될 수 있다
1) 기업과 NGO 관계
기업과 NGO 관계는 어…(투비컨티뉴드 ) 떻게 나타나는가? 일반적으로 NGO의 도전
에서 비롯되어, 이에 대한 기업의 대응으로 나타난다. 아래에서는 먼저 기업과 NGO 관계
의 특징과 change(변화)에 대해 살펴본 다음, 기업에 대한NGO의 도전 측면과
NGO에 대한 기업의 대응 측면을 구분해 요약하며, 나아가 기업-NGO
교환관계에 대해 次例로 조사하였다. 政府와의 관계에서처럼 기업
과의 협력 관계가 깊을수록 자율성 유지 문제가 발생한다.레포트/인문사회
기업과 시 민 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시 민 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
Download :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시민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hwp( 67 )
%20%EA%B8%B0%EC%97%85%EA%B3%BC%20NGO%EC%9D%98%20%EA%B4%80%EA%B3%84%EC%99%80%20%EA%B8%B0%EC%97%85%EC%8B%9C%EB%AF%BC%EC%A0%95%EC%8B%A0%EC%9D%98%20%EC%9D%98%EB%AF%B8%EC%99%80%20%EB%B0%B0%EA%B2%BD%20%EB%B0%8F%20%EC%9B%90%EC%B9%99_hwp_01_.gif)
%20%EA%B8%B0%EC%97%85%EA%B3%BC%20NGO%EC%9D%98%20%EA%B4%80%EA%B3%84%EC%99%80%20%EA%B8%B0%EC%97%85%EC%8B%9C%EB%AF%BC%EC%A0%95%EC%8B%A0%EC%9D%98%20%EC%9D%98%EB%AF%B8%EC%99%80%20%EB%B0%B0%EA%B2%BD%20%EB%B0%8F%20%EC%9B%90%EC%B9%99_hwp_02_.gif)
%20%EA%B8%B0%EC%97%85%EA%B3%BC%20NGO%EC%9D%98%20%EA%B4%80%EA%B3%84%EC%99%80%20%EA%B8%B0%EC%97%85%EC%8B%9C%EB%AF%BC%EC%A0%95%EC%8B%A0%EC%9D%98%20%EC%9D%98%EB%AF%B8%EC%99%80%20%EB%B0%B0%EA%B2%BD%20%EB%B0%8F%20%EC%9B%90%EC%B9%99_hwp_03_.gif)
%20%EA%B8%B0%EC%97%85%EA%B3%BC%20NGO%EC%9D%98%20%EA%B4%80%EA%B3%84%EC%99%80%20%EA%B8%B0%EC%97%85%EC%8B%9C%EB%AF%BC%EC%A0%95%EC%8B%A0%EC%9D%98%20%EC%9D%98%EB%AF%B8%EC%99%80%20%EB%B0%B0%EA%B2%BD%20%EB%B0%8F%20%EC%9B%90%EC%B9%99_hwp_04_.gif)
%20%EA%B8%B0%EC%97%85%EA%B3%BC%20NGO%EC%9D%98%20%EA%B4%80%EA%B3%84%EC%99%80%20%EA%B8%B0%EC%97%85%EC%8B%9C%EB%AF%BC%EC%A0%95%EC%8B%A0%EC%9D%98%20%EC%9D%98%EB%AF%B8%EC%99%80%20%EB%B0%B0%EA%B2%BD%20%EB%B0%8F%20%EC%9B%90%EC%B9%99_hwp_05_.gif)
%20%EA%B8%B0%EC%97%85%EA%B3%BC%20NGO%EC%9D%98%20%EA%B4%80%EA%B3%84%EC%99%80%20%EA%B8%B0%EC%97%85%EC%8B%9C%EB%AF%BC%EC%A0%95%EC%8B%A0%EC%9D%98%20%EC%9D%98%EB%AF%B8%EC%99%80%20%EB%B0%B0%EA%B2%BD%20%EB%B0%8F%20%EC%9B%90%EC%B9%99_hwp_06_.gif)
순서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시민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 ,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시민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인문사회레포트 , 기업과 시민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 관계와 기업시민정신 의미와 배경 원칙
기업과,시민사회,파트너십,기업과,NGO,관계와,기업시민정신,의미와,배경,원칙,인문사회,레포트
기업과 市民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市民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
목차
기업과 市民사회 파트너십
Ⅰ. 기업과 NGO 관계
1. 기업-NGO 관계 유형
2. NGO에 대한 기업의 대응
Ⅱ. 기업市民정신의 의미
Ⅲ. 기업市民정신의 배경
1. 내부적 요인
2. 외부적 요인
Ⅳ. 기업市民정신의 원칙
1. 윤리적 비즈니스 실천
2. 이해당사자 기대부응
3. environment(환경) 보전과 지속가능개발
reference
기업과 市民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 관계는 政府와 NGO 관계만큼이나 복잡하지는 않지만
그 중요성은 결코 경시될 수 없다. 주요 영리추구
이해관계에 대한 반대, 영리추구 경제에 대한 협력, 영리추구 경제로부
터의 자율, 전통적인 영리추구 경제에 대한 대안 등 네 가지가 그것들
이다. 아래에서는 먼저 기업과 NGO 관계
의 특징과 change(변화)에 대해 살펴본 다음, 기업에 대한NGO의 도전 측면과
NGO에 대한 기업의 대응 측면을 구분해 요약하며, 나아가 기업-NGO
교환관계에 대해 次例로 조사하였다.
(1) 기업-NGO 관계 유형
기업-NGO 관계를 보다 세분화된 유형으로 분류해보면, 보스웰
(Bothwell 1998: 256-7)의 유형 분류를 참고할 만하다.
기업과 NGO 관계에 초점을 맞춰보면, 그 관계는 일방적인 적대 혹
은 공...
기업과 市民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市民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
목차
*기업과 市民사회 파트너십
Ⅰ. 기업과 NGO 관계
1. 기업-NGO 관계 유형
2. NGO에 대한 기업의 대응
Ⅱ. 기업市民정신의 의미
Ⅲ. 기업市民정신의 배경
1. 내부적 요인
2. 외부적 요인
Ⅳ. 기업市民정신의 원칙
1. 윤리적 비즈니스 실천
2. 이해당사자 기대부응
3. environment(환경) 보전과 지속가능개발
*reference
*기업과 市民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 관계는 政府와 NGO 관계만큼이나 복잡하지는 않지만
그 중요성은 결코 경시될 수 없다. 특히 재정
적 의존도가 높을수록 자율성 침해의 우려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NGO의 재정은 기업보다는 政府지원에 더 의존하고 있는
데, 이는 세계적인 추세라 볼 수 있다 샐러먼 등(2004)의 34개국 average(평균)
자료(data)
기업과 시 민 사회 파트너십) 기업과 NGO의 관계와 기업시 민 정신의 의미와 배경 및 원칙
설명
다.
(1) 영리추구 이해에 대한 반대이다. environment(환경) 친화적인 생산활동을 대
표적인 事例로 꼽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 NGO들의 공공캠
페인에 대한 기업의 지지 혹은 후원,2)NGO에 대한 기업의 재정지원,
3) 기업과NGO의 사회공익 마케팅에서의 협력관계, 4) NGO의 연구조
사활동에 기업의 참여, 5) 기업간부들이 NGO 이사회 등에 참여, 6) 기
업임직원의 市民사회 봉사활동 등이 대표적인 유형들이다. 최근에는 양자
사이의 다양한 협력과 공조 또는 파트너십으로 제시되고 있다 아래에
서는 면저 기업-NGO 관계에 관한 유형을 살펴보고, NGO의 도전에
대한 기업의 대응 strategy, 그리고 위협과 협력의 대안에서 나타나는 다
양한 관계 유형을 요약해본다.
기업과 NGO 관계에 초점을 맞춰보면, 그 관계는 일방적인 적대 혹
은 공조는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