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
페이지 정보
작성일 18-12-22 23:54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hwp
II. 의사소통의 유형
한사람이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 언어를 통해서만 의사를 전달하지는 않는다.
서지사항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xxx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history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xxx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xxx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xxx
사회복지 事例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xxx
자기소개/일반공통






사회복지실천,의사소통과,면접,일반공통,자기소개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 ,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일반공통자기소개 ,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
설명
Download :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hwp( 79 )
순서
다. 언어적 메시지 외에 손짓, 얼굴표정 등이 수반되며 목소리의 고저, 강약 등도 전달된다 이렇듯 의사소통에는 크게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있으며 사람들 간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때는 이 모든 의사소통 유형이 동시에 작용을 한다.
1) 언어적 의사소통
인간은 의사소통의 기본 도구인 언어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데, 언어적 의사소통은 가장 간편하고 솔직한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I. 의사소통의 과정
의시적성에는 수신체계. 처리체계, 전달체계가 있으며, 이들은 각기 자신의 감각 기관들에 의해 메시지를 주고받는다. 그러나 언어적 의사소통에는 사용하는 언어의 차이, 같은 언어 내에서도 방언으로 인한 차이,…(省略) 특정한 언어의 의미나 사용방법의 차이, 단어의 정확한 의미에 대한 대중적 합의의 결여, 혹은 감정 들을 표현하는 어휘의 제한 등으로 인한 어려움이 많다. 기호화란 송신할 메시지를 기호의 형태로 바꾸는 과정이다. 사회복지실천의 면접은 의사소통의 특수한 형태 중의 하나로 사회복지면접에서 서비스 개입의 성공을 위해서는 인간관계가 잘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말과 표정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얼굴 표현을 더 신뢰한다는 것이다. 효능적인 의사소통은 효능적인 면접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들의 연구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비언어적 행동의 중요성으로, 능력 있는 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귀를 기울이고 이해해야 한다.
수신체계란 송신자의 메시지를 받는 체계이며, 이를 다시 송신하는 것을 전달체계라 한다. 송신은 기호화된 메시지를 보내는 과정이며 수신을 받은 자극을 해석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고 이 과정에서 잡음의 影響(영향)을 받게 된다 잡음은 메시지가 송신자로부터 수신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메시지를 왜곡시키는 외부의 影響(영향)으로, 잘못된 송신이나 수신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점검의 과정이 필요하다. 사회복지실천 의사소통과 면접
의사소통은 두 사람 이상이 상호간에 의미를 주고받으며 점검하는 상호작용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해독하고 이에 reaction(반응)하기 위해 기호화하는 것을 처리체계라고 한다.
2) 비언어적 의사소통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의사소통은 정보 전달의 가장 기본적이고 원시적인 형태로서 개인의 용모, 자세. 얼굴표정 행동. 침묵, 말투, 음조, 몸짓이나 동작, 눈의 마주침 등과 장소의 물리적 상황으로서의 여건, 안락함, 분위기 등을 포함한다. 즉. 인간관계란 의사소통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국 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위해서는 명확하고 안정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보통 두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의사소통에서도 의미의 1/3만이 언어의 수준에서 전달되고 2/3은 비언어적 수준에서 전달된다 의사소통에 있어서 메라비안(Meabian) 외의 연구에 의하면 의사소 통에서 언어적 단서의 影響(영향)은 7%, 목소리는 38%, 얼굴의 단서는 55%라고 한다.